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외교안보국제부 정다은 기자와 함께 더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Q1. 자, 4년 더 대만에서 친미 정권이 집권하게 됐습니다. 양안, 즉, 중국과 대만 관계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. <br><br>한 마디로 정리하면, "중국과 대만 사이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될 것"이라는 겁니다. <br><br>말씀하신 대로 라이칭더 당선인, 현재 총통인 차이잉원보다 더 강경파로 여겨질 정도로 '친미', '독립' 성향이 강하다고 알려졌는데요, <br><br>당선 후 첫 일성으로 "중국의 정치적 공세·군사적인 위협에 맞서 대만을 지킬 각오가 있다"며 강하게 발언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당선 결과가 나온 지 2시간 만에 "중국과 대만의 통일은 필연적"이다, 이런 입장을 내면서 대만을 압박했습니다. <br><br>3월 초 중국 양회와 5월 중순 대만 총통 취임 사이에 중국이 압박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데, 이 중에는 해상 봉쇄 등 군사적 조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2. 이번 선거는 미중 간 패권 대리전이라고도 평가받죠. 미국 입장에선 잘 된 결과인가요? <br><br>쉽게 말해, 미국은 한시름 덜었고, 중국은 딜레마에 빠졌다,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입장에선 대만이 친중 대신 친미 노선을 택했기 때문에, 세계적으로 '두 개의 전쟁'을 치르고 있는 상황에서, 반도체 공급망 불안정과 대만 문제까지 떠안는 최악의 경우를 피한 겁니다. <br> <br>특히 올해 11월 재선을 노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으로선 더욱 그렇습니다. <br><br>우선 미국은 곧바로 대표단을 파견해 대만 주요 지도자들과 만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중국은 라이칭더가 집권하자마자 길들이기 식으로 군사적 압박 등을 감행할 수 있지만, 중국 내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, 경제 회복을 통한 민심 달래기가 우선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이런 분석들을 종합해보면 당분간 미중 모두 대만 문제가 충돌로 비화되지 않게 관리하자는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3. 대만을 둘러싼 상황은 우리나라의 안보나 경제와도 관련이 적지 않은데, 한국에 끼치는 영향은 얼마나 큰가요?<br> <br>미국과 중국이 엮여 있는 대만 정세에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><br>미국의 한 연구기관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, 대만 다음으로 우리나라가 반도체나 무역 분야에서 GDP 감소율이 가장 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만일 대만에서 전쟁이 발생한다면, 한국도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고려해 전쟁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<br>Q4. 우리 경제계도 영향이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네. 대만이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, TSMC를 보유한 만큼 이번 선거 이후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TSMC의 영향력은 여전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이로 인해 우리나라 반도체 업체들에겐 세계 시장 점유율 등에서 유리한 상황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특히 미중 간 갈등이 심해지면 글로벌 공급망 전쟁에서 한국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돼 공급망에 대한 사전 점검도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